jestpic.com

Discover Best Images of World

#food #travel #sports #news #may #thursday

큰바다사자. Stella sea lion (Eumetopias jubatus). 알래스카. 최근 신안(6월), 포항(7월), 통영(8월) 앞바다에서 큰바다사자가 나타나 화제다. 1920년대에는 신안 가거도 인근 부속섬에서 120개체 정도가 서식했다고 한다(고경남 신안군 세계유산과장).<br /><br />큰바다사자는 이름 때문에 바다사자와 혼동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큰바다사자는 큰바다사자 속(Eumetopias)에 속하는 단일종이고, 바다사자 속(Zalophus)에는 3종이 알려져 있다. 한반도에 서식했던 바다사자는 ‘강치(Zalophus japonicus)’라고 부른다. 지금은 멸종했다. 강치(强治)라는 표기는 19세기 기록인 오주연문장전산고(이규경)에서 처음 나타난다. 이전에는 ‘가지(可之)’ 또는 ‘가지어(可支魚, 嘉支魚)’라고 적었는데, 울릉도 방언인 ‘가제’ 및 ‘가재’를 음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거 독도엔 가지가 많아서 가지도라고 불렀다고도 한다. 17세기 기록인 울릉도 사적(장한상)을 보면, 선조들은 이 강치를 물개(해구, 海狗)나 물범(반달, 班獺)과도 구별했음을 알 수 있다. 덧붙여, 조선에서는 강치를 ’가지‘로 표기했으나 중국과 일본에서는 ’해려(海驢, 직역하면 바다나귀)‘로 표기했다. 역사문헌에서 해사(海狮)라는 표기는 아직 보이지 않고, 영어 sea lion을 직역한 바다사자라는 표기를 사용한 것은 최근인 1970년대부터다. (참고문헌: 유미림, 2015, ‘가제냐, 강치냐’, 영토해양연구) <br /><br />그러나 조선시대에 큰바다사자를 바다사자와 구별하였는지, 달리 부르던 이름이 있었는지 궁금하다.  #sealion #stellasealion #eumetopiasjubatus #바다사자 #큰바다사자 #강치 #독도 #zalophus #zalophusjaponicus #alaska #알래스카 #여행스타그램 #여행 #야생동물 #wildlife

큰바다사자. Stella sea lion (Eumetopias jubatus). 알래스카. 최근 신안(6월), 포항(7월), 통영(8월) 앞바다에서 큰바다사자가 나타나 화제다. 1920년대에는 신안 가거도 인근 부속섬에서 120개체 정도가 서식했다고 한다(고경남 신안군 세계유산과장).

큰바다사자는 이름 때문에 바다사자와 혼동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큰바다사자는 큰바다사자 속(Eumetopias)에 속하는 단일종이고, 바다사자 속(Zalophus)에는 3종이 알려져 있다. 한반도에 서식했던 바다사자는 ‘강치(Zalophus japonicus)’라고 부른다. 지금은 멸종했다. 강치(强治)라는 표기는 19세기 기록인 오주연문장전산고(이규경)에서 처음 나타난다. 이전에는 ‘가지(可之)’ 또는 ‘가지어(可支魚, 嘉支魚)’라고 적었는데, 울릉도 방언인 ‘가제’ 및 ‘가재’를 음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거 독도엔 가지가 많아서 가지도라고 불렀다고도 한다. 17세기 기록인 울릉도 사적(장한상)을 보면, 선조들은 이 강치를 물개(해구, 海狗)나 물범(반달, 班獺)과도 구별했음을 알 수 있다. 덧붙여, 조선에서는 강치를 ’가지‘로 표기했으나 중국과 일본에서는 ’해려(海驢, 직역하면 바다나귀)‘로 표기했다. 역사문헌에서 해사(海狮)라는 표기는 아직 보이지 않고, 영어 sea lion을 직역한 바다사자라는 표기를 사용한 것은 최근인 1970년대부터다. (참고문헌: 유미림, 2015, ‘가제냐, 강치냐’, 영토해양연구)

그러나 조선시대에 큰바다사자를 바다사자와 구별하였는지, 달리 부르던 이름이 있었는지 궁금하다. #sealion #stellasealion #eumetopiasjubatus #바다사자 #큰바다사자 #강치 #독도 #zalophus #zalophusjaponicus #alaska #알래스카 #여행스타그램 #여행 #야생동물 #wildlife

9/5/2023, 2:50:34 PM